카메라로 QR 찍고
핸드폰에서
레시피 보기
쌀 2컵, 물
저는 백미를 사용했지만 더욱 질퍽한 느낌을 원하시면 찹쌀을 사용하셔도 괜찮아요.
찬물 700ml, 다시마 3장
끓여서 만드셔도 좋지만 오래 끓이면 쓴맛이 나서 오래 우려내지 못하잖아요.
찬물에 자연스럽게 우려서 사용하면 다시마에서 나오는 끈끈한 액을 온전히 섭취할 수 있고 간편해서 좋아요. 미리 우려서 찌개나 국 만들 때 사용하셔도 좋습니다.
전복 3미
육질과 껍데기가 붙어있는 패각근을 끊어 주셔야 쉽게 분리할 수 있는데 위치를 찾는 깨알 팁을 하나 알려드리자면요. 전복 껍데기가 길쭉한 부분, 껍데기에 뚫려있는 구멍이 시작되는 부분으로 스푼을 넣으면 된답니다.
내장 위치 반대 방향부터 긁으며 돌려주셔야 내장이 터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요.
크기가 있다 보니 힘을 조금 주셔야 하는데
손 다칠 수 있으니 처음이라면 장갑 착용하고 하세요!
내장도 먹을 수 있으니 버리지 마세요!
당근 60g, 애호박 60g
손질한 전복 3미
조금 큼직하게 썰어야 씹히는 맛이 좋아요.
전복 내장, 들기름 1스푼, 맛술 1스푼
특유의 비린 향이 있어 선호하지 않는 분들도 계시지만 내장을 가미하면 전복의 향이 올라갑니다. 죽에 넣으면 비린맛 없으니 사용해주세요.
들기름 3스푼, 다진 당근, 애호박, 대파, 내장 양념장
약불로 달군 후, 중불에서 1분 30초 볶기
불린 쌀 2컵
물에 담가 놓았던 쌀을 채반으로 바로 건져서 사용하면 물이 많이 유입될 수 있으니 미리 채반에 받쳐서 물을 빼주시는 게 좋아요.
다시마 육수 700ml
중불에서 2분
약불에서 천천히 끓여주셔야 쌀이 잘 퍼져요.
화력이 강하면 수분만 졸아들고 쌀이 뻣뻣하답니다. 당근 식감도 딱딱해지고 말이에요.
국간장 1스푼 반, 소금 2꼬집
약불에서 10분
끓일수록 죽의 농도가 된죽 형태가 되니 끓이는 시간은 취향에 따라 가감해주시면 됩니다.
만드는 양에 비해서 소금 간이 부족할 수가 있는데 전복 풍미로 드시는 것이니 조금만 넣어주세요. 드실 때 너무 싱겁게 느껴진다면 취향에 맞춰 따로 소금간 해서 드시면 되니까요!
참기름 1스푼, 통깨 약간
된죽 형태지만 쌀이 충분히 퍼졌기 때문에 부드럽게 드실 수 있을 거예요. 제가 묽은 죽을 별로 좋아하지 않는데 이렇게 해놓으면 밥 먹는 것 같아 좋더라고요.
등록일 : 2019-11-10 수정일 : 2024-03-01
저작자의 사전 동의 없이 이미지 및 문구의 무단 도용 및 복제를 금합니다.
개별회신을 원하시면 여기에 문의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