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메라로 QR 찍고
핸드폰에서
레시피 보기
![]() |
SOS! 김장김치가 맛이 없어요!
1_ 배추가 덜 절여졌을 때는요…
소를 적게 넣어 맛이 덜하거나 배추를 충분히 절이지 않아 간이 싱거울 때는 새우젓이나 멸치젓 국물만 따로 받아 위에 살짝 뿌리는 게 일반적인 방법. 찬물에 하룻밤 정도 담가 간을 모두 뺀 다음 송송 썰어서 일부는 냉동 보관시켰다가 국이나 찌개에 넣어 먹고, 일부는 간장과 물엿, 고춧가루, 마늘, 파, 참기름에 조물조물 무쳐 나물로 만들어 먹어도 좋다.
2_ 김장이 너무 짜게 되었어요…
짠 김장김치는 무조건 익기만 기다리면 쓴맛이 우러나 오히려 더 못 먹는다. 아삭한 무를 큼직하게 썰어 김장 속에 박아 넣으면 짠맛이 좀 줄어든다. 물에 헹궈 꼭 짠 다음 채반에 널어 말렸다가 촛물에 담가 일주일쯤 발효시켜 김치피클을 만드는 것도 아이디어. 비빔국수, 볶음우동, 라면 등에 곁들이면 맛있다.
3_ 너무 매워 아이들이 잘 안 먹을 때는요…
매운 김치를 싫어하는 아이들은 소를 털어낸 다음 곱게 다져서 커틀릿을 만든다. 돼지고기 등심을 포 떠서 다진 김치를 속에 넣고 커틀릿을 만들면 아이들이 좋아하는 메뉴가 되는 것. 김치의 매콤한 맛 덕분에 돼지고기의 누린 맛도 없앨 수 있다.
4_ 물러져서 아삭한 맛이 없을 때는요…
젓갈을 너무 많이 넣거나 배, 양파 등을 많이 넣으면 김치가 쉽게 물러진다. 이때는 김치를 꼭 짠 후 매운탕에 넣거나 북어와 함께 달달 볶아 북어국을 끓여 먹는다. 지나치게 물러진 김치로는 무얼 해도 맛있게 먹기가 어려우므로 미리 먹어치우는 게 최고의 방법.
5_ 너무 일찍 담갔더니 시어졌어요…
이런 경우에는 김치를 꼭 짠 후 찬물에 살짝 씻어 신맛을 어느 정도 뺀 다음 물기를 제거한다. 여기에 된장이나 고추장, 청국장을 넣고 찌개나 조림을 하면 토속적인 맛이 난다. 참기름과 설탕을 약간 넣고 조물조물 무쳐 먹어도 맛있다.
6_ 젓갈을 너무 많이 넣었을 때는요…
젓갈이 많이 들어가면 금방 질리기 쉬운데 물에 헹궈 양념 맛을 제거한 다음 콩나물과 대파를 듬뿍 넣고
매운 고춧가루를 풀어 끓이면 해장국으로 좋다.
젓갈의 풍부한 맛이 남아 있어 육수를 따로 넣지 않고 쌀뜨물만으로 끓여도 맛있다.
1. 불고기김치쌈 ▶ 필요한 재료 : 쇠고기(등심) 300g, 배추김치 잎 100g, 밥 2공기, 밥 양념(참기름·깨소금 1작은술씩, 소금 약간), 실파 12대, 불고기 양념장(간장 1½큰술, 배즙·다진 파·맛술 1큰술씩, 물엿·다진 마늘 1작은술씩, 참기름 ½작은술, 후춧가루 약간) ▶ 이렇게 만드세요 1. 쇠고기는 등심 부위로 준비해서 적당한 크기로 썰어 종이타월로 꾹꾹
눌러 핏물을 뺀다.
없앤다.
뺀 다음 김치를 묶을 끈으로 사용한다.
얹은 다음 김치 잎을 위쪽으로 감싼 후에 실파로 돌돌 감아 고정시킨다.
오이 ½개, 메밀국수 200g, 소금 약간, 참기름 1작은술,
깨소금·설탕 ½작은술씩, 초고추장 소스(고운 고춧가루·간장· 통깨 1작은술씩, 고추장·배즙·식초 3큰술씩, 양파즙·맛술
1큰술씩, 물엿 2큰술, 참기름 ½작은술)
깨소금, 설탕을 넣어 조물조물 무친다.
물을 약간 넣고 소금을 뿌려 삶는다.
뺀다.
얹어 초고추장 소스로 비벼 먹는다.
다시마 우린 물 3큰술, 다진 파 2큰술, 소금 약간
넣고 소금 간을 하여 고루 섞는다.
종이타월로 그릇을 덮은 다음 수증기가 떨어지지 않도록 해서 뚜껑을 덮어 5분간 찐다.
다진 마늘 1작은술씩, 실파 2대, 홍고추 ½개, 통깨·소금 약간씩
간장, 물엿, 참기름, 홍고추를 첨가해 조린다.
▶ 필요한 재료 : 배추김치·숙주·쇠고기(등심) 100g씩, 참기름 1큰술, 소금·후춧가루 약간씩,
깨소금·다진 마늘·맛술·설탕 1작은술씩, 실파 2대
▶ 이렇게 만드세요
재빨리 다시 한번 볶아 넓은 접시에 펼쳐 식힌다. 1. 배추김치는 물에 한번 헹궈 양념을 씻어낸 후 물기를 꼭 짜고 가로로 채썬다. 2. 숙주는 다듬어 씻어 물기를 뺀다. 3. 쇠고기는 배추김치와 비슷한 길이로 썰어 소금, 후춧가루로 밑간한다. 4. 팬에 참기름을 두르고 다진 마늘과 쇠고기를 달달 볶다가 배추김치를 넣어 함께 볶는다. 5. 쇠고기가 거의 익으면 숙주를 넣어 함께 볶아서 설탕, 소금, 후춧가루, 깨소금, 맛술을 넣고 |
등록일 : 2007-04-21 수정일 : 2007-04-21
저작자의 사전 동의 없이 이미지 및 문구의 무단 도용 및 복제를 금합니다.
개별회신을 원하시면 여기에 문의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