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ger Script

카메라로 QR 찍고
핸드폰에서
레시피 보기

7
main thumb
동그랑

경상도 제사 모둠 전찌개 만드는 법 /남은 명절 음식 활용 요리 레시피

명절 남은 전으로 전찌개 끓였어요
4인분 30분 이내 초급
조리순서Steps
이미지크게보기 텍스트만보기 이미지작게보기
이번 설에 부친 전 종류입니다. 돔배기와 조기 빼고, 사진에 없는 가자미전 포함해서 총 15 가지 했네요. 양은 조금씩 하고 가짓수를 많이 해서 다양하게 맛보게 한답니다.
멸치 디포리 새우 다시마 대파 양파 등을 넣고 육수를 내줍니다. 저처럼 이렇게 육수 내지 않고 다시 팩이나 코인 육수로 사용해도 된답니다.
고춧가루 2 큰 술, 다진 마늘 1 큰 술, 국간장 1 큰 술, 까나리 액젓 1 큰 술, 맛술 1 큰 술, 후춧가루 4 번 톡톡 넣고 섞어 전 찌개 양념장을 만들어줍니다.
명절 남은 전은 먹기 좋게 한 입 크기로 썰어 주세요. 저는 전 찌개에 새우 꼬치전, 배추전, 동태포전, 부추전, 동그랑땡, 다시마전, 오색꼬치전, 깻잎전, 녹두빈대떡, 육전, 두부전, 쥐포전 등, 12 가지 전을 넣었는데요.

전 종류는 딱히 상관이 없는데 고구마전은 단맛이 나서 찌개가 들큰해질 수 있으니 넣지 않았답니다.

삼색 나물도 남았는데요. 도라지는 넣지 않고 고사리와 시금치나물만 넣었답니다. 도라지 좋아하시면 넣어도 괜찮아요.
신 김치는 반 컵 정도 썰어 준비합니다.
대파 반 대는 송송 썰어주세요.
홍고추 1 개도 송송 썰어줍니다. 홍고추는 선택사항입니다.
낮은 전골냄비에 썬 전을 동그랗게 담아줍니다. 섞어서 먹을 찌개지만 모양도 예쁜 게 좋겠지요. 가운데 빈 공간에 신 김치와 시금치나물 고사리나물도 담아줍니다.
만들어 놓은 전 찌개 양념장도 가운데 여기저기 넣어 주세요.
멸치 육수는(800ml) 4 컵 준비해서 전 찌개에 부어주기 전에 팔팔 끓여줍니다.
육수가 끓으면 전 담은 냄비에 부어 끓여주세요. 처음에 찬 육수를 넣고 전과 함께 끓이면 끓는 동안 전의 밀가루 옷이 부풀어서 완성될 즈음엔 국물이 걸쭉해지니 육수는 팔팔 끓을 때 부어 잠깐만 끓여 내면 된답니다.
전 찌개가 한소끔 끓으면 떠오르는 거품은 걷어줍니다.
육수 부어 한소끔 끓으면 썰어 넣은 대파와 홍고추를 넣고 잠깐만 끓여줍니다. 너무 오래 끓이면 밀가루 옷들로 인해 국물이 금방 졸아드니 한소끔만 끓여 내면 된답니다.
여러 가지 전을 넣고 끓인 모둠 전 찌개입니다.
팁-주의사항
처음에 찬 육수를 넣고 전과 함께 끓이면 끓는 동안 전의 밀가루 옷이 부풀어서 완성될 즈음엔 국물이 걸쭉해지니 육수는 팔팔 끓을 때 부어 잠깐만 끓여 내면 된답니다.

등록일 : 2025-02-01 수정일 : 2025-02-01

저작자의 사전 동의 없이 이미지 및 문구의 무단 도용 및 복제를 금합니다.
레시피 작성자About the writer

동그랑

딸, 아들에게 알려주고 싶은 엄마 집밥을 좋은 분들과 공유하고자 합니다. 늘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https://m.blog.naver.com/kh2187782-

댓글 0
파일첨부
동파육 맛보장 레시피
더보기
무나물볶음 맛보장 레시피
더보기
새우젓호박볶음 맛보장 레시피
더보기
달래무침 맛보장 레시피
더보기
스튜 맛보장 레시피
더보기
라떼 맛보장 레시피
더보기
간장찜닭 맛보장 레시피
더보기
전복죽 맛보장 레시피
더보기
구운계란 맛보장 레시피
더보기
미역오이냉국 맛보장 레시피
더보기

최근 본 레시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