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시피 등록을 위해서는 지금 사용하고 있는 브라우저 버전을 업그레이드 하거나 다른 웹 브라우저를 사용해야 됩니다.
아래의 브라우저 사진을 클릭하여 업그레이드 하세요.
카메라로 QR 찍고 핸드폰에서 레시피 보기
280
Tina소울푸드
원추리 나물 무침 두가지 만드는법
원추리는 한여름에 들에 오렌지색 백합꽃처럼 피어나는 야생화인데 봄에 새순이 돋아날 때 원추리 나물을 요리해 먹을 수 있어요. 원추리는 카로틴, 비타민, 미네랄이 풍부해 항산화, 항염 효과가 있고 면역력 향상에도 좋고 노화방지에도 도움이 된다고 하니 요즘 유행하는 저속노화식품이라고 볼 수 있겠죠. 원래 원추리는 근심과 슬픔을 잊게 하는 꽃이라고 해서 망우초라고 불리기도 하고 훤초라고도 해요. 원추리나물은 작은 풋마늘잎이랑 질감이 비슷한데 넓은 잎이 반 접혀 있어요. 하우스에서 나는 건 괜찮은데 야생에서 채취한 건 잎 사이 사이 틈에 흙이 들어 있을 수 있어서 될 수 있으면 잎을 하나하나 분리해서 물에 푹 담갔다가 씻어 줘야 해요. 원추리 나물을 요리할 때 주의할 점은 원추리 새순은 괜찮지만 자랄수록 콜히친이라는 독성 성분이 많아져 배앓이를 할수도 있어요. 다행히 열에 약하고 물에 충분히 우려내면 어느정도 제거된다고는 하지만 어린 새싹이 아니면 안먹는 게 좋겠죠. 어린 새싹이라도 혹시 모르니 데친 뒤에 물에 1시간 정도 찬물에 우렸다가 요리해 줬어요. 원추리 나물은 데쳐서 무쳐 놓으면 부드러우면서 달큰한 맛이 좋은데 원추리 양이 많아서 맛을 비교해 볼 겸 반은 간장 양념에 담백하게 무쳐보고 반은 초고추장 양념에 새콤 매콤하게 무쳐 봤어요. 개인의 취향에 따라 다르겠지만 둘 다 매력이 있고 장점이 있고 맛있긴 한데 담백한 맛을 좋아하는 저는 간장양념에 나물처럼 무친 쪽이 더 맛있더라구요. 같은 재료 같은 나물을 가지고 소소를 달리해서 색다른 느낌으로 두가지 나물을 먹는 기분이 들기도 하구요. 담백하고 고소한 맛과 새콤매콤한 맛을 넘나들면서 맛을 비교해 보는 재미도 있어요. 봄이어서 봄나물 풍년이어서 마음까지 풍요로워지는 거 같아요.
개별회신을 원하시면 여기에 문의하세요.